본 홈페이지는 무료회원가입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rev 2024. 06 nex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고령자 고용촉진장려금 지원기준 대폭 강화로 아파트 지원 ‘유명무실’  1년 이상 근무한 고령자가 전체 근로자의 42% 넘어야 해당  


아파트관리신문-황태준 기자 nicetj@aptn.co.kr


그동안 아파트에서 고령의 경비원·관리직원 채용시 활용해 왔던 고령자 고용촉진장려금 지원제도가 관련 법령의 개정으로 아파트에 대한 지원이 유명무실화될 위기에 놓여 입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노동부와 각 지역고용안정센터에 따르면 최근 고령자 고용촉진장려금의 지원대상과 지원기간 등을 조정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하는 고용보험법시행령과 시행규칙이 개정됐다.

개정된 고용보험법시행령 제22조 제1항 제1호에는 고령자 고용촉진장려금의 지급대상과 관련해 매분기 1년 이상 고용된 월평균 고령자수가 업종별로 노동부장관이 정해 고시하는 비율 이상이어야 하며, 제3호에는 사업주가 장려금을 지급받을 수 있는 기간은 5년을 초과할 수 없도록 규정했다.

이는 이번에 관련 법령이 대폭 강화된 것으로 기존에는 지원대상 고령자에 대한 기준과 지원기간이 없었다.

특히 장려금 지원을 위한 고령자의 기준비율은 업종에 관계없이 전체 근로자의 6% 이상이었으나 아파트의 경우 부동산업으로 분류돼 1년 이상 근무한 고령자가 전체 근로자의 42%를 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지난 2월 시행령에 이어 시행규칙이 시행에 들어간 올 3월 10일분부터 고령자가 전체 근로자의 42%에 미달하는 상당수의 아파트에서는 장려금을 전혀 받을 수 없으며, 42%를 초과해 장려금을 계속 받는 단지도 대부분 금액이 대폭 줄었고, 그나마 5년 후에는 혜택을 볼 수 없게 됐다.

실제로 서울 관악구 B아파트의 경우 분기당 56만2천여원의 다수고령자 고용촉진장려금을 수령해 왔으나 최근 신청한 올 2/4분기 장려금은 부지급 결정대상 사업장이 되어 전혀 받지 못 했다.

이와 함께 인천 연수구 D아파트와 안양시 S아파트 등 고령자가 몇 명에 불과했던 대부분의 아파트는 고령자 지원기준 비율에 미달해 장려금 혜택을 받을 수 없었다.

또한 그동안 분기당 26만5천여원을 지원 받았던 서울 강서구 T아파트는 2/4분기에 6만5천여원만 받게 돼 지원 금액이 75%나 감소했다.

서울 노원구 S아파트 입주자대표회장은 “개정 법령에 의해 대부분의 아파트에서는 고령자 고용촉진장려금을 못 받거나 받아도 금액이 대폭 줄어 아파트에 대한 장려금 지원제도는 유명무실화 됐다.”며 “아파트 관리의 질적 저하에 대한 우려를 감수하고, 정부시책에 따라 고령자를 많이 채용했는데 이제 와서 장려금 혜택을 줄인 것은 당초 법 제정의 취지를 무색하게 하는 것으로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서울 K구 고용안정센터 관계자는 “아파트 관리사무소는 고령자를 많이 채용하므로 고령자 채용을 특별히 촉진할 필요가 없어 기존에 비해 혜택이 줄도록 법령이 개정된 것”이라며 “지난 99년 고용촉진장려금 지원제도가 시행된 이후 대부분의 아파트에서 많은 혜택을 받았으므로 다른 업종에도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는 것이 정부의 정책 방향”이라고 답변했다.


2004년 09월 06일 (550 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아파트관리소사람들이 리뉴얼 되었습니다. 2020-12-29 14518
공지 국내생산 원데이 마스크 판매합니다. - 아파트별 대량 구매가능 file 2020-09-17 13996
공지 글 쓰기는 무료회원 가입 후 글쓰기 하실 수 있습니다 [2] [7] 2007-03-18 34850
213 ◈제 3회 대한 주택관리사 협회 경기도회장기 축구대회 개최 공고◈ 2006-09-09 2640
212 ㅇ 건설교통부는 집값담합 조사를 중단하기로 방침을 정한 바가 없다. file 2006-09-12 2159
211 주공, 서민주택단지 안전점검 무상지원 file 2006-09-12 1931
210 부적절한 공동주택 명칭변경 금지_건설교통부 2006-09-13 2006
209 아파트수돗물로 인하여 [1] 2006-09-15 2128
208 건설교통부령 제531호(주택공급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령) 2006-09-20 1888
207 2006 에너지전시회 안내 2006-09-20 2149
206 내년도 최저임금, 3,480원으로 확정 고시 [‘07.1.1~’07.12.31 적용 최저임금안] file [1] 2006-09-20 2290
205 최저임금법사업주설명자료0609_감시.단속근로자 최저임금 감액적용 관련 file 2006-09-24 2701
204 ◎법률 제7983호_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 2006-09-25 2150
203 제9회_주택관리사보_시험에_총_3만3천여명이_응시해(건교뉴스)[1] file 2006-09-29 2197
202 주민등록법[부칙 <제7900호,2006.3.24>이 법은 공포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2006-10-05 1971
201 공동주택 안전 및 유지관리 표준 메뉴얼 이용하세요 [2] 2006-10-09 2436
200 제3회 대한주택관리사 협회 경기도 회장기 축구 대회 단신 2006-10-18 2280
199 17개 공사 하자책임기간 1년씩 연장, 20개 추가/내년부터 공동주택 관리현황 인터넷 공개 의무화 file [12] 2006-10-26 2767
198 승강기 안전 『이제는 보수품질우수업체가 책임진다』 file 2006-11-23 2846
197 단전가구에 대한 최소 전기공급량 2배 확대(110W→220W) file 2006-11-23 2445
196 시설관리에도 국가표준(KS) 적용 file 2006-11-23 2106
195 응시자격 관련학과 지정 고시(최종, 06.11.23) 2006-11-30 2111
194 20061107 국회제출법안(근로기준법 일부개정법률안)[1] file 2006-11-30 2063
193 24시간씩 격일제로 근무하는 아파트 경비원의 실제 근로시간_대법원2006.11.23. 2006다41990 [1] 2006-12-08 3276
192 노동부_최저임금_안내문 file 2006-12-18 2427
191 대법원 "근무중 식사시간도 근로시간에 포함된다" 2006-12-23 3024
190 2007년 공동주택 법․제도 이렇게 바뀐다. (한국아파트 신문 06.12.27일자 5면 게재) file 2006-12-29 2799
189 승강기 표준보수료(2007년도) file 2007-01-03 2455
188 제9회 주택관리사보 자격시험 합격자 통계 2007-01-03 2124
187 “나가 주세요” 60대 경비원의 ‘시린 눈물’ 2007-01-04 2868
186 고령자를 위한 공동주택 신축기준’ 마련 file [1] 2007-01-05 2171
185 15평 이하 오피스텔 바닥난방 허용 file 2007-01-05 2325
184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안[국회 본회의 의결일 2006.12.22] 2007-01-08 2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