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홈페이지는 무료회원가입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rev 2024. 06 nex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제1조(목적) 이 법은 근로자 퇴직급여제도의 설정 및 운영에 필요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근로자의 안정적인 노후생활 보장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3조(적용범위) 이 법은 근로자를 사용하는 모든 사업 또는 사업장(이하 “사업”이라 한다)에 적용한다. 다만, 동거의 친족만을 사용하는 사업 및 가사사용인에 대하여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

부      칙

제1조(시행일) 이 법은 2005년 12월 1일부터 시행한다. 다만, 상시 4인 이하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은 2008년 이후 2010년을 넘지 아니하는 기간 이내에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날부터 시행한다.


제5조(퇴직금제도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 당시 종전의 근로기준법 제34조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설정된 퇴직금제도와 미리 정산하여 지급된 퇴직금은 이 법에 의하여 설정되거나 지급된 것으로 본다.

제6조(다른 법률의 개정)
  ①勤勞基準法중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34조를 다음과 같이 한다.
  제34조(퇴직급여제도) 사용자가 퇴직하는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퇴직급여제도에 관하여는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이 정하는 바에 따른다.
  제37조제1항 본문중 “賃金ㆍ退職金”을 “임금”으로 한다.
  제37조제2항제2호를 삭제한다.
  제96조제5호중 “退職金, 賞與”를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제8조의 규정에 의한 퇴직금, 상여”로 한다.
  ②賃金債權保障法중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6조제2항제1호를 다음과 같이 한다.
    1. 「근로기준법」 제37조제2항제1호의 규정에 의한 임금 및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제11조제2항의 규정에 의한 퇴직금
  제7조제2항을 다음과 같이 한다.
  ②「근로기준법」 제37조제2항의 규정에 의한 임금채권우선변제권 및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제11조제2항의 규정에 의한 퇴직금채권우선변제권은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대위되는 권리에 존속한다.
  제9조제2호를 다음과 같이 한다.
    2.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부칙 제2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퇴직보험 등에 가입한 사업주, 동법 제3장의 규정에 의한 퇴직연금제도를 설정한 사업주(동법 제26조의 규정에 의한 특례적용 사업의 사업주를 포함한다)
  ③保險業法중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108조제1항제2호를 다음과 같이 한다.
    2.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부칙 제2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퇴직보험계약 및 제16조제2항의 규정에 의한 보험계약
제7조(다른 법령과의 관계) 이 법 시행 당시 다른 법령에서 종전의 근로기준법 제34조의 규정에 의한 퇴직금제도 또는 그 규정을 인용한 경우 이 법중 그에 해당하는 규정이 있는 때에는 종전의 규정에 갈음하여 이 법 또는 이 법의 해당 규정을 인용한 것으로 본다.


부   칙 <2005.7.29>

이 법은 2005년 12월 1일부터 시행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아파트관리소사람들이 리뉴얼 되었습니다. 2020-12-29 14478
공지 국내생산 원데이 마스크 판매합니다. - 아파트별 대량 구매가능 file 2020-09-17 13957
공지 글 쓰기는 무료회원 가입 후 글쓰기 하실 수 있습니다 [2] [7] 2007-03-18 34813

연봉제하 퇴직금 중간정산요건 지침변경 안내_첨부파일 참조 file

  • 2006-07-06
  • 조회 수 2249

전기요금복지할인신청서(다운로드) file

  • 2004-03-25
  • 조회 수 2249

‘맨땅 놀이터’ 27일부터 불가 file

  • 2008-02-15
  • 조회 수 2248

근로계약기간을 정한 근로계약 당사자 사이의 근로관계와 그 기간의 정함이 형식에 불과하다는 사정이 인정되는 경우, 사용자의 정당한 사유 없는 갱신계약 체결거절의 효력

  • 2007-09-11
  • 조회 수 2247

근로기준법 일부개정법률[공포일자 2007-01-26 시행일자 2007-07-01 ]

  • 2007-02-27
  • 조회 수 2246

아파트주차장 cctv 일제점검 file [1]

  • 2007-04-27
  • 조회 수 2245

발코니 창호 표준계약서 제정 file

  • 2009-01-10
  • 조회 수 2245

최근5년 최저임금

  • 2006-09-05
  • 조회 수 2238

2009년도 최저임금 합의 결정 file

  • 2008-07-05
  • 조회 수 2236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령[2006.6.29 건설교통부령 제523호] file

  • 2006-07-18
  • 조회 수 2236

지하주차장 CCTV 미설치 형사처벌 검토

  • 2003-08-07
  • 조회 수 2234

아파트 분양광고의 성격 및 그로 인한 계약책임

  • 2007-11-13
  • 조회 수 2229

아파트 관리비 부가세 부과, 일대 혼란 일 듯

  • 2003-04-10
  • 조회 수 2227

IT가 숨쉬는 지능형 공동주택 제도기반 조성 file

  • 2007-09-14
  • 조회 수 2218

발코니확장 관련_방화유리의 설치_건설교통부[동영상]

  • 2006-03-13
  • 조회 수 2218

아파트 시설물의 유지관리실태 일제 점검-건교부

  • 2003-12-01
  • 조회 수 2212

의정부지법, 임차인 배제한 입대의 구성 ‘유효’

  • 2008-03-19
  • 조회 수 2206

정화조 청소 인부 등 6명 유독가스 질식

  • 2005-09-13
  • 조회 수 2202

전기요금인하 및 복지요금제도 시행(자세한 사항은 한전홈페이지를 이용)

  • 2004-03-25
  • 조회 수 2202

도급제 근로자들에게 적용될 최저임금액

  • 2007-11-13
  • 조회 수 2199

만화로보는 발코니 확장 _ 건설교통부

  • 2006-03-13
  • 조회 수 2199

주차장법령 개정추진 file

  • 2003-03-31
  • 조회 수 2198

제9회_주택관리사보_시험에_총_3만3천여명이_응시해(건교뉴스)[1] file

  • 2006-09-29
  • 조회 수 2197

화재보험의 계약기간 만료 후 새로운 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동안 화재

  • 2002-12-26
  • 조회 수 2196

16일부터 아파트 등 공동주택 관리현황 인터넷공개 의무화_별첨참조 file [1]

  • 2007-03-18
  • 조회 수 2191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시행 2010. 7. 6] [대통령령 제22255호, 2010. 7. 6, 일부개정] file

  • 2010-07-07
  • 조회 수 2186

고령자를 위한 공동주택 신축기준’ 마련 file [1]

  • 2007-01-05
  • 조회 수 2170

소화기구 기동점검, 검정제도 긴급진단 실시 file

  • 2006-08-10
  • 조회 수 2169

주택법시행령개정령(안)입법예고

  • 2003-07-22
  • 조회 수 2167

시끄러운 서울...도로변과 주거지역, 공동주택 및 학교 주변 등에 방음벽을 [1]

  • 2002-09-13
  • 조회 수 2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