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홈페이지는 무료회원가입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rev 2024. 06 nex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보도해명]공동주택의 하자보수기간은 10년이내임

조회 수 3901 추천 수 13 2005.07.21 15:05:15
http://enews.moct.go.kr/news/newsview.jsp?News_id=enews&News_sec_id=14603&News_art_id=20050719183941000보도일자 : 2005.07.19 18시]            

  
[보도해명]공동주택의 하자보수기간은 10년이내임  

보도내용(조선일보 ‘05.7.13 2면)
ㅇ 아파트 하자보수 1~3년제한은 위헌

해명내용

ㅇ ‘05.5.26「주택법」및 「집합건물의소유및관리에관한법률」을 동시 개정하여 하자담보책임기간을 「주택법」으로 일원화하여 법률간에 상충하는 문제를 해소한 바,

- 개정된「주택법」제42조제1항에서 공동주택의 내력구조부별 및 시설공사별로 10년이내의 범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도록 되어 있어 아파트 하자보수 1~3년제한은 위헌이라는 언론보도(2005.7.13, 조선일보 2면)는 사실과 다르다.

ㅇ 그리고 주택법시행령 제59조 및 제62조에 의한 하자담보책임기간은 주택부품의 내구수명을 감안하여 시설공사별 1~3년, 내력구조부별 5~10년으로 정하고 있다.

ㅇ 작년 4월 대법원 판례는 공동주택이 석조 등의 재료로 조성된 때에 10년을 적용한 것으로 내구수명이 2~5년 정도인 도장․벽지 등 마감재료까지 포괄적으로 판결한 것이 아님에도

- 그 동안 건축된 모든 공사에 대한 하자담보책임기간이 10년인 것으로 인식되어 하자보수를 둘러싼 사업주체와 입주자간 빈번하게 다툼이 발생하고,

- 입주자가 하자보수를 염두에 두고 적기에 교체 또는 수선 등 관리를 소홀히 하여 주택의 급격한 기능저하가 우려되기도 한다고 밝혔다.

* 영국.프랑스.일본 등 외국의 경우에도 주택의 부위별로 2년의 단기하자와 10년의 장기하자로 구분하여 운영하고 있음.

ㅇ 정부는 공동주택의 부품별로 내구수명에 따라 합리적으로 하자담보책임기간을 정하여 운용이 가능함에 따라,

- 사업자의 부담을 덜어 주어 주택공급을 촉진하고, 불필요한 하자분쟁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문의 : 주택국 주거환경과, 반석내, 2110-8114,  BS0519@moct.go.kr

0719주택법(하자보도해명).hwp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아파트관리소사람들이 리뉴얼 되었습니다. 2020-12-29 14483
공지 국내생산 원데이 마스크 판매합니다. - 아파트별 대량 구매가능 file 2020-09-17 13963
공지 글 쓰기는 무료회원 가입 후 글쓰기 하실 수 있습니다 [2] [7] 2007-03-18 34815

연봉제하 퇴직금 중간정산요건 지침변경 안내_첨부파일 참조 file

  • 2006-07-06
  • 조회 수 2249

전기요금복지할인신청서(다운로드) file

  • 2004-03-25
  • 조회 수 2249

‘맨땅 놀이터’ 27일부터 불가 file

  • 2008-02-15
  • 조회 수 2248

아파트주차장 cctv 일제점검 file [1]

  • 2007-04-27
  • 조회 수 2248

근로기준법 일부개정법률[공포일자 2007-01-26 시행일자 2007-07-01 ]

  • 2007-02-27
  • 조회 수 2248

근로계약기간을 정한 근로계약 당사자 사이의 근로관계와 그 기간의 정함이 형식에 불과하다는 사정이 인정되는 경우, 사용자의 정당한 사유 없는 갱신계약 체결거절의 효력

  • 2007-09-11
  • 조회 수 2247

발코니 창호 표준계약서 제정 file

  • 2009-01-10
  • 조회 수 2245

최근5년 최저임금

  • 2006-09-05
  • 조회 수 2238

2009년도 최저임금 합의 결정 file

  • 2008-07-05
  • 조회 수 2236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령[2006.6.29 건설교통부령 제523호] file

  • 2006-07-18
  • 조회 수 2236

지하주차장 CCTV 미설치 형사처벌 검토

  • 2003-08-07
  • 조회 수 2234

아파트 분양광고의 성격 및 그로 인한 계약책임

  • 2007-11-13
  • 조회 수 2230

아파트 관리비 부가세 부과, 일대 혼란 일 듯

  • 2003-04-10
  • 조회 수 2227

IT가 숨쉬는 지능형 공동주택 제도기반 조성 file

  • 2007-09-14
  • 조회 수 2219

발코니확장 관련_방화유리의 설치_건설교통부[동영상]

  • 2006-03-13
  • 조회 수 2219

아파트 시설물의 유지관리실태 일제 점검-건교부

  • 2003-12-01
  • 조회 수 2212

의정부지법, 임차인 배제한 입대의 구성 ‘유효’

  • 2008-03-19
  • 조회 수 2206

정화조 청소 인부 등 6명 유독가스 질식

  • 2005-09-13
  • 조회 수 2203

전기요금인하 및 복지요금제도 시행(자세한 사항은 한전홈페이지를 이용)

  • 2004-03-25
  • 조회 수 2202

도급제 근로자들에게 적용될 최저임금액

  • 2007-11-13
  • 조회 수 2199

만화로보는 발코니 확장 _ 건설교통부

  • 2006-03-13
  • 조회 수 2199

주차장법령 개정추진 file

  • 2003-03-31
  • 조회 수 2198

제9회_주택관리사보_시험에_총_3만3천여명이_응시해(건교뉴스)[1] file

  • 2006-09-29
  • 조회 수 2197

화재보험의 계약기간 만료 후 새로운 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동안 화재

  • 2002-12-26
  • 조회 수 2196

16일부터 아파트 등 공동주택 관리현황 인터넷공개 의무화_별첨참조 file [1]

  • 2007-03-18
  • 조회 수 2193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시행 2010. 7. 6] [대통령령 제22255호, 2010. 7. 6, 일부개정] file

  • 2010-07-07
  • 조회 수 2186

고령자를 위한 공동주택 신축기준’ 마련 file [1]

  • 2007-01-05
  • 조회 수 2170

소화기구 기동점검, 검정제도 긴급진단 실시 file

  • 2006-08-10
  • 조회 수 2169

주택법시행령개정령(안)입법예고

  • 2003-07-22
  • 조회 수 2167

시끄러운 서울...도로변과 주거지역, 공동주택 및 학교 주변 등에 방음벽을 [1]

  • 2002-09-13
  • 조회 수 2164